etc

  • 얼마전에 친구가 MCP에 대한 얘기를 했는데 그냥 LLM에 일시키는 프로토콜인갑다 하고 넘겼는데 이걸 구글에 검색했더니 유튜브에 MCP 관련 영상을 겁나게 추천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뭔가 해봐야겠다 싶어서 만들어봄. 검색해보니 MCP SDK로 코틀린도 있길래 코틀린 성애자인 나는 코틀린을 써보기로 했다. 사실 본 영상중에 90%는 파이썬을 썼고, 10%는 타입스크립트를 쓰는데 나는 파이썬을 싫어하고 타입스크립트는 내가 컴을 새로 사고…

  • 트리를 RDBMS에 넣으려고 하면 id와 parent_id를 만들어서 나타낼 수 있다. 대충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은 테이블이 나온다. 내가 원하는 건 어떤 행의 모든 부모 행을 가져오는것이다. 단순히 생각하면 걍 여러번 쿼리를 때리면 되는데 이걸 한번에 할 수는 없을까? 하고 ChatGPT에게 물어보니 바로 가르쳐줌 쉬발; 로 하면 된다. 그다지 깊지 않은 경우엔 재귀쿼리가 낫고 매우 깊어질 가능성이…

  • 레지스트리 값을 바꾸면 된다 [code]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Console\TrueTypeFont [/code] 에서 949의 값을 바꾸면 된다.(한글 윈도 CP949) 그 뒤 쉘을 실행하고 제목표시줄 오른쪽 클릭 -> 속성에서 폰트를 바꾼 폰트로 바꾸면 된다. 쉘이니만큼 고정폭글꼴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1. 일단 MinGW를 설치한다. 기본적으로 gcc만 설치되는데 필요하면 g++이나 mingw32-make도 설치한다. 2. 환경변수를 수정한다. (Windows 10 기준으로) 시작버튼 우클릭 -> 시스템 -> 시스템 고급 설정 -> 환경변수 -> 시스템변수에서 PATH를 찾아 더블클릭 후 맨 뒤에 ;C:\MinGW\bin을 추가한다. 물론 경로라서 케바케인데 경로는 gcc.exe, g++.exe등이 존재하는 경로를 추가한다. 3. 저번에 만들어둔 프로필을 수정한다. PowerShell에서 Edit-Profile을 실행시키면 저번에…

  • 출처 일단 vim을 설치한다. (http://www.vim.org) 그리고 나서 실행해본다. ((vim설치폴더)/vim.exe) 문제는 얘를 어떻게 vim만 입력해서 불러오느냐의 문제이다. 얘는 alias를 설정해야한다. 무턱대고 다음을 입력해본다. set-alias vim ‘c:/program files/vim/vim74/vim.exe’ 그러고나서 vim을 입력해보면 vim이 잘 실행된다. 그런데 문제는 얘는 일시적인 명령이라서 PowerShell을 껐다가 다시 실행하면 vim을 입력하면 찾지를 못한다. 그래서 얘를 유지시키는게 위의 출처의 주 내용이다. 1. 일단 get-executionpolicy를…